보건용 마스크 필터 종류 등급 사용법 차이점 주의사항 (KF80, KF94, KF99)
미세먼지, 황사, 메르스, 코로나19 등의 계속되는 위험으로 인해서 이제 마스크는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시중에는 다양한 기능과 종류의 마스크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보건용 마스크, 수술용 마스크, 공산품 마스크 등)
이렇게 기능과 종류가 다양하다 보니, 어떤 마스크를 어떨 때 써야 되는지 헷갈립니다.
오늘은 마스크 종류별 기능과 사용법,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마스크 종류?
1) N95 마스크
미국의 미국 산업보건 연구원에서 인증한 마스크입니다.
주로 호흡기 감염을 막기 위해서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진들이 많이 쓰는 병원에서 주로 쓰는 제품입니다.
0.02~0.2 마이크로그램 크기의 입자를 95% 차단하는 성능이 있습니다. (필터가 빡빡하여 호흡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차단 성능은 좋지만 일반인들이 구매하기 어렵고, 약국에도 잘 없는 제품이나 보니 나라에서는 KF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권고 있습니다.
2) KF 보건용 마스크
'KF'는 '코리안 필터(Korean Filter)'의 약자의 약자입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하는 의약외품 마스크 등급으로, 'KF'뒤에 붙이는 숫자에 따라 입자 차단율이 다릅니다.
'KF 등급'이 없거나 '의약외품' 표시가 없다면 식약처에서 공식적으로 허가한 제품이 아닙니다.
따라서 면 마스크, 방한마스크, 산업용 방진마스크 등이 있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식약처에서 성능시험을 공식적으로 한 것은 아님을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KF80 마스크]
0.6 마이크로그램 크기의 입자를 80% 이상 차단합니다.
[KF94 마스크]
0.4 마이크로그램 크기의 입자를 94% 이상 차단합니다.
미국의 N95 등급의 마스크와 성능이 비슷한 마스크라고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식약처나 질병관리본부에서 기본적으로 권고하는 성능의 마스크입니다.
[KF99 마스크]
0.4 마이크로그램 크기의 입자를 99% 이상 차단합니다.
간혹 볼 수 있는 마스크로 성능은 KF94보다 높지만, 호흡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비말 차단용/수술용 마스크]
얇고 가볍고 통기성 있는 제품의 마스크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곤란하거나 장기간 더운 환경 있어 불편한 사람들에게 권장하고 있으며 건강취약계층, 기저질환자 들이 있습니다.
2. 종류별 장단점
차단 성능이 좋으면 입자를 더 미세하게 걸러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KF99 > KF94 > KF80 > 비말 차단용/수술용 마스크
반대로 필터가 빡빡하기에 호흡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비말 차단용/수술용 마스크 > KF80 > KF94 > KF99
3. 사용법 및 주의사항
1) 틈이 없도록 착용하기
입과 코를 꼭 가리고 틈이 없도록 착용해야 합니다.
차단 성능이 아무리 좋더라도 입과 코로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있다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손 조심하기
손 씻기는 당연히 생활화하여야 합니다.
마스크 착용 전 손 씻기는 필수이며, 마스크 착용 후에도 만지거나 벗거나 하는 행위는 마스크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오히려 감염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3) 밀폐된 공간에서는 절대 벗지 말기
밀폐된 공간은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섞인 비말이 있다면 실내 곳곳을 떠다니며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밀폐된 공간에서 마스크는 절대 벗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수분에 젖은 마스크
땀이 나 물 등에 젖은 마스크는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마스크 세탁을 하게 되면 입자를 달라붙게 하는 정진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마스크의 성능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마스크는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5) 호흡이 너무 어렵다면?
장기간 더운 환경에 있는 분들,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이 곤란하거나 어지럽거나 하시는 분들 특히 건강취약계층이나 기저질환자들이라면 차단율이 떨어져도 호흡이 좀 더 편한 비말 차단용/수술용 마스크 사용도 권장합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계산 방법 알아보기 (0) | 2020.09.26 |
---|---|
타지역 종량제 봉투 환불 교환 방법 스티커 (0) | 2020.09.26 |
금 골드바 사는 구입 투자 방법 (0) | 2020.09.19 |
폐차 보상금 기준 및 절차와 방법 주의사항 (0) | 2020.09.18 |
중고차 살 때 내야 되는 세금 수수료 비용 (1) | 2020.09.15 |